hyuko

연산자 본문

Java/Java 기초편

연산자

hyuko12 2023. 4. 23. 23:58
728x90
반응형

연산자

  • 항과 연산자
    • 항은 값이다.
    • 연산자는 어떠한 방법으로 계산을 할 것인지 결정하는 기호이다.

연산자의 종류

  • 단항 연산자 : 항이 하나 인 것
  • 이항 연산자 : 항이 두 개인 연산자
  • 삼항 연산자 : 항이 세 개인 연산자

※ 연산을 하게 되면 항상 결과가 나온다.

  1. 대입 연산자 (=) : 변수에 값을 대입하는 연산자.
  2. 부호 연산자 (+, -): 양수, 음수
  3. 산술 연산자 (+,-,*,/,%) : 더하기, 빼기, 곱하기, 나누기 몫, 나누기 나머지산술 연산자 실습
public class Operation1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int add = 1 + 3 ;
		int sub = 10 - 5;
		int mul = 10 * 2;
		int div = 10 / 5;
		int remainder = 10 % 5;
		
		System.out.println(add); // 더하기
		System.out.println(sub); // 빼기
		System.out.println(mul); // 곱하기
		System.out.println(div); // 나누기 몫(정수 끼리의 나누기 경우)
		System.out.println(remainder); // 나머지 (배수를 구할 때) (짝수/ 홀수 구할 때)
		
		System.out.println(remainder == 0 ? "5의 배수이다." : "5의 배수가 아니다.");
	}
}

결과 콘솔창


  1. 증감 연산자 (++, --): ++ 항의 값에 1을 더 한다.
    -- 항의 값에 1을 뺀다.실습 코드
public class Operation2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int num = 10;
		
		num = num + 1;
//		++num; 해당 라인에서 바로 1을 더해서 변수에 대입(선 증가)
//		num++; 해당 라인에서 1을 더 하지만 변수에 대입은 되어있지 않다 (후 증가)
		
		System.out.println(num++);
		System.out.println(num);
	}
}

콘솔 결과창


  1. 관계 연산자 (>, <, >=, <=, ==, !=)
  2. 논리 연산자 (&&, ||, !)관계 연산자와 논리연산자 코드
/*
 * 
 *  논리 연산자
 *  AND(곱) T && T , T && F 하나라도 F이면 F이다.
 *  
 *  OR(합) T || T , T || F , F || F  모두 F 여야 F이다.
 *  
 *  NOT(부정) !T 참이면 거짓, 거짓이면 참
 *  
 */
public class Operation3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int num = 11;
		
		boolean flag1 = true;
		boolean flag2 = true;
		boolean flag3 = num % 2 == 0;
		
		
		System.out.println(flag1 && flag2);
		System.out.println(flag1 && flag3);
		
		System.out.println(!(flag1 || flag3 && flag2));
	}
}

결과 콘솔창


  1. 조건 연산자 : 조건식? 결과1 : 결과2
public class Operation6 {
	/**
	 * @param args
	 */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		/*
		 * 	시험 성적을 학점으로 계산하는 프로그램
		 * 	
		 * 	정수 자료형 score 변수 선언
		 * 	88 점으로 초기화
		 * 
		 * 	문자 자료형 grade 변수 선언
		 * 
		 * 	조건 
		 * 	score 가 0점보다 작거나 100점보다 크면  X를 출력
		 * 	score 가 90에서 100점이면 A학점
		 * 	score 가 80에서 89점이면 B학점
		 * 	score 가 70에서 79점이면 C학점
		 * 	score 가 60에서 69점이면 D학점
		 * 	score 가 0에서 59점이면 F학점
		 * 
		 * 
		 */
		
		int score = 58;
		
		char grade = score > 100 || score < 0 ? 'X'
				: score > 89 ? 'A' 
				: score > 79 ? 'B' 
				: score > 69 ? 'C'
				: score > 59 ? 'D': 'F';
				
		char plus = score > 100 || score < 60 ? '\0' : score % 10 > 4  || score == 100 ? '+' : '\0';
				
				
	    System.out.println("점수(" + score + "): " + grade + plus + "학점"  );
		
		
	}
}

결과 콘솔창

728x90
반응형

'Java > Java 기초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AVA 의 변수  (0) 2023.04.23
데이터 타입(논리형)  (0) 2023.04.23
데이터타입(실수형)  (0) 2023.04.23
데이터 타입(문자형)  (0) 2023.04.23
자바 기초 개념  (0) 2023.04.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