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numpy
- 백엔드 설정
- Spring
- JWT
- springboot
- Repository
- Spring Boot
- Kotlin
- 기초설정
- 네티 서버
- controller
- axios
- Java
- 프로젝트
- netty
- 자료형
- 팀프로젝트
- toyproject
- MySQL
- 채팅
- 네티 클라이언트
- 스프링부트
- service
- 자바
- Security
- 코틀린
- 배열
- 도커
- react
- 클래스
- Today
- Total
목록Springboot (10)
hyuko

해당 기술을 찾아보고 공부하며 실제로 프로젝트에 녹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.처음에는 회사 프로젝트가 MQTT를 쓰는게 많았고, 그것을 spring cloud stream으로 써볼 까 였지만?제가 잘 못찾았을 수도 있지만 예제나 방식을 찾지 못하고 있던 찰나! 기본적인 mqtt 방식에서 모든 기기의 요청자체를 rabbit MQ로 받아서 msa 방식으로 나누어서 버스형태로 구성했고추후에 트래픽 량이 많아지거나 했을 때 kafka 등의 도입도 생각이 있기에 코드를 직접 변경하는 방법이 아닌yaml 에서 수정하면 유연하게 작업이되는 spring cloud stream을 도입하였다. 특징.1. Rabbit MQ , Kafka등 과의 통합을 추상화하여 지원2. 개발자가 메시징 시스템의 세부 구현에 신경 쓰지 않고 쓸..
- 큰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bootstrap 설정에서의 group이 하나만 들어간다.- channel 설정이 NioSocketChannel.class 이다.- 네티 클라이언트의 연결의 경우에는 bootstrap을 통해 bind 하는 것이 아닌 connect를 써서 진행 아래는 해당 차이점에 대한 변경들을 코드로 보여준다.@Slf4j@Configuration@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NettyClientConfig { @Bean public Bootstrap readBootstrap(ClientChannelInitializer nettyChannelInitializer) { log.info("bootstrap create for client")..
Netty config 설정@Slf4j@Configuration@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NettyClientConfig { @Bean public Bootstrap readBootstrap(ClientChannelInitializer nettyChannelInitializer) { log.info("bootstrap create for client"); Bootstrap bootstrap = new Bootstrap(); bootstrap.group(group()).channel(NioSocketChannel.class).handler(nettyChannelInitializer); return boots..
- 기본 설정 클래스 NettyConfig 구성 @Configuration@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NettyConfig { @Bean public ServerBootstrap serverBootstrap(ServerChannelInitializer serverChannelInitializer) { ServerBootstrap serverBootstrap = new ServerBootstrap(); serverBootstrap.group(bossGroup(), workerGroup()).channel(NioServerSocketChannel.class).childHandler(serverChannelInitializer); ..